본문 바로가기
건강백과/건강관리

체질량지수(BMI)계산기로 건강 체크하기! 비만도 측정과 관리

by 러늬 2025. 3. 30.
반응형

체질량지수(BMI)계산기로 건강 체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체질량지수(BM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체질량지수는 우리 몸의 비만도를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인데요. 키와 몸무게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체질량지수란?

 

체질량지수(BMI)는 체중과 키를 이용해 체지방량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히 말해, 우리 몸이 얼마나 뚱뚱한지 또는 날씬한지를 숫자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BMI (체질량지수) 계산 방법

BMI를 계산하는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BMI = 체중(kg) ÷ (키(m) × 키(m))

예를 들어, 키가 170cm이고 몸무게가 65kg인 사람의 BMI는 이렇게 계산됩니다.
65 ÷ (1.7 × 1.7)= 22.5

 

체질량지수(BMI) 계산기 바로가기

BMI(체질량지수) 기준표

자, 이제 우리나라 기준으로 BMI 수치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볼까요?

BMI 수치 비만도 판정
18.5 미만 저체중
18.5 ~ 22.9 정상
23~ 24.9 과체중
25 ~ 29.9 1단계 비만
30 ~ 34.9 2단계 비만
35 이상 3단계 비만

 

이 기준은 대한비만학회의 "비만 치료지침(2022 8판)"을 따른 것입니다.

BMI(체질량지수)의 한계

 

BMI가 편리하긴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완벽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근육이 많은 운동선수들은 BMI가 높게 나올 수 있지만 실제로는 건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노인이나 어린이, 임산부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건강한 체질량지수(BMI) 유지하기

건강한 BMI를 유지하려면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해요. 매일 20분씩 가볍게 걷는 것만으로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BMI는 건강을 측정하는 하나의 지표일 뿐입니다.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판단하려면 허리둘레, 운동 여부, 식습관 등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여러분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