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백과/건강관리49

STSS와 독성 쇼크 증후군은 다른 질병 입니다. 응? 뭐지? '독성 쇼크 증후군'과 'STSS'는 다른 질병이네? 일본에서 작년부터 유행하고 있는 'STSS(연쇄 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에 대해서 포스팅하기 위해 언론 매체나 지식백과 등을 통해 조사를 하다가 약간의 혼란스러움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몇몇의 언론 보도에서 '독성 쇼크 증후군( STSS)'이라는 언론 기사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자료를 조사를 하다 보니 '독성 쇼크 증후군'과 'STSS'는 전혀 다른 질병이었습니다. 연쇄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과 독성 쇼크 증후군의 차이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질병은 '연쇄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STSS, 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이며, 독성 쇼크 증후군과 연쇄구균 독성 증후군은 서로 전혀 다른 질병인 것으로 확인되.. 2024. 3. 21.
내 몸속의 오수(소변)저장 탱크 '방광'의 주요 기능 방광은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여러 가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체의 중요한 기관입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우리 몸의 오수 탱크인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며 배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방광의 주요 기능을 알아보기 전에 소변이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몸속의 오수! 소변을 저장하는 오수탱크 방광의 역할 방광에 저장 되는 '소변'은? 혈액이 몸속의 '혈액필터'라 불리는 '신장(콩팥)'을 통해 몸에 필요하지 않은 영양분 및 찌꺼기가 걸러지게 되며 이를 '소변'이라고 합니다. 우리의 몸이 활동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성분들을 신장의 '사구체(絲球體, glomerulus)'라는 여과장치를 통해 분류하고 '방광'이라는 오수 탱크에 저장하고 몸 밖으로 배출하게 됩니다. 오수탱크 '방광'의 주.. 2024. 3. 16.
관절염증,통증 영양제 궁합(보스웰리아,콘드로이친) 무릎 관절 통증을 고질병으로 달고 사는 1인으로써 관절건강에 좋다고 생각되는 영양제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관절 통증 관리는 병원에서의 검사와 치료가 우선이며,영양제 복용은 꾸준한 관절 건강 관리를 위한 것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관절염증과 통증 완화의 영양제 추천 궁합 보스웰리아+콘드로이친 관절 관리는 콘드로이친으로 하고 통증 관리는 보스웰리아로 하면 좋습니다. 콘드로이친을 꾸준히 장기적으로 복용하며 관리하고, 보스웰리아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관절염증이나 통증 발생시에 단기적으로 복용하며 관리하면, 최고의 조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절 건강 관리는 '콘드로이친'(섭취방법,주의 사항) 콘드로이친은 관절의 기능개선과 통증을 완화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장기 복용(1년 이상)을 했을 경우에도.. 2024. 2. 26.
심장,소화기,근골격계,폐 질환의 증상 '가슴통증(흉통)' 가슴통증 증상에 따른 질환(심장, 소화기, 근골격계, 폐) 가슴에 통증이 오면 일반적으로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슴통증에는 심장, 근골격계, 소화기, 폐 등의 여러 질환에도 가슴통증을 동반하기도 하며, 통증에도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요. 위와 같은 질환에 따라서 가슴의 통증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다음의 가슴통증 증상에 따른 질환에 대한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라며, 가슴에 통증이 있다면 최우선으로 병원 방문 후 진찰 및 검사를 받아 보시기를 바랍니다. ※ 1. 심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심장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일부분이 막히면서 혈액 및 산소 부족으로 발생하며, 심근경색은 3개의 관상동맥 중에.. 2024. 2. 7.
히트쇼크(heat shock) 발생 원인과 증상,예방,치료 방법 히트쇼크(heat shock)의 발생! 원인부터 치료까지 추운 겨울철이 되면 목욕탕이나 온천등에서 히트쇼크(heat shock) 사고 소식이 자주 전해집니다. 급격한 온도변화에 몸의 온도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서 심한 고열과 함께 뇌졸중, 심근경색등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까지 합니다. 특히,추운 겨울에 목욕탕, 온천, 집의 난방시설 및 온수 사용 중에 히트쇼크가 많이 발생합니다. 고령자나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자들이 더욱 주의하셔야 할 히트쇼크 (heat shock)에 히트쇼크의 발생원인 히트 쇼크는 갑작스럽게 몸이 과랭 및 과열되면서 발생합니다. 몸의 온도가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인체에 장착된 전천후 온도 조절 시스템이 작동합니다. 과열의 경우 혈관을 넓혀서 혈액의.. 2024. 1. 25.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