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백과72

쓴오이 여주의 해열과 해독 작용 쓴오이 여주의 해열과 해독 작용 과일이라 부르고 채소로 사용하는 여주 아열대 과일의 하나인 여주는 수박, 멜론, 오이와 같은 과일 채소로 분류가 된다고 한다. 동남아시아, 인도, 중국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조선 후기쯤에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고 한다. 오이와 비슷한 모양과 쓴맛으로 '쓴 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주의 열량은 100g당 약 22kcal이며, 가장 맛있다고 알려진 시기는 6월~8월이다. 생긴 모양은 도깨비방망이를 닮았는데 형태가 다양하며, 색은 보통 진녹색, 연녹색, 백색이다. 표면의 돌기 역시 뾰족한 것이 있고 둥근 것이 있다. 엽산,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와 칼륨, 철분, 인등의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와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 2022. 11. 13.
양배추는 위장을 개선하는 힘을 품고 있다. 양배추는 위장을 개선하는 힘을 품고 있다 고대 그리스(기원전 400년경)에서 약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는 양배추는, 소아시아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라고 알려져 있으며, 유럽에서 실제로 재배된 것은 9세기경부터이며, 19세기 후반에는 개량된 결구 양배추가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 후반에 도입되어,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 양배추는 각 부위별로 영양소가 다른데, 겉잎에는 철분과 칼슘, 비타민A가 풍부하고, 하얀 속잎에는 비타민B, 비타민C 함량이 높다. 이러한 양배추의 영양성분은 양배추의 속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며, 특히 심지 부위에는 위장에 좋은 비타민 U성분이 가장 많다. 비타민 U성분은 위장의 점막을 재생하는 효능이 있어, 위장관 내의 세포 재생을 도.. 2022. 11. 11.
피부에 영향을 주는 폐(폐장) 산소를 흡수하고 피부 전체를 주관하는 폐장(폐) 폐는 하늘의 떠도는 기를 뽑아서 인체 속으로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산소가 폐로 들어오면, 한 개의 적혈구에 12억 개의 산소를 운반한다. 산소가 있는 적혈구는 빨갛고, 산소가 없는 적혈구는 약간 푸른색을 띠게 된다. 이 산소는 음식에서 섭 취한 당분을 태우는데 필요한 에너지이다. 이러한 연소 작용은 각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데 미토콘드리아가 불안전하면 독성 산소가 발생한다. 폐의 기본 설명 폐의 무게는 약 1.92KG이며, 좌폐와 우폐가 있다. 폐포의 총면적은 70~90제곱미터이며 체포 면적의 40~50배나 된다한 개의 폐포를 둘러싼 모세혈관의 수는 2,000개나 된다고 추정한다. 모세혈관의 용적은 140ml 정도이며 혈액량은 100ml 정도이고.. 2022. 10. 31.
혈액 필터 '비장' 몸속의 재활용 처리장,혈액필터 '비장' 여기서 운화란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물질과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기능이다. 비장은 위와 소장에서 소화, 흡수된 영양분을 변화시켜 만든 수곡 정기를 폐로 보낸다. 그리고 폐장으로부터 심맥으로 들어가 혈맥을 통해 온 몸에 퍼진 영양물질을 오장육부와 모든 조직에 필요한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작용도 주관한다. 비의 운화 기능이 정상이어야 소화, 흡수 기능이 원활하고 기, 혈, 진액의 생성에 필요한 영양이 공급되며, 온몸의 장부와 조직에 필요한 에너지도 충분히 제공된다. 그렇지 못하면 소화, 흡수 기능이 떨어져 배가 부르고 설사하며, 식욕이 떨어지고, 몸이 피로하여 여위는 등 기혈부족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난다. 비장은 혈액의 통섭을 주관한다. 여기서 통섭이란 혈액이 혈맥 속을 .. 2022. 10. 30.
천연 소화제'무' 속 시원한'무' 속 시원하게 해주는 천연소화제 '무' 우리나라의 다양한 종유의 모든 김치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 조림, 무침, 국, 찌개 등 어떠한 음식에도 조화롭고 시원한 맛을 보여주는 무에 대해 알아본다. 무는 무라고 많이 불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무수, 무시라고도 부른다. 정확한 표현은 1989년 표준어 개정하면서 '무'표기로 정착하게 되었다. 원산지로는 지중해 연안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고려시대에 간행되었다고 알려지며, 우리나라에서 전해져 오는 가장 오래된 의방서 에 재배 기록이 남아 있다. 1900년대 초까지 조선무(재래종 무)가 재배되었으며, 이후 일본과 유럽계 무가 들어왔으며, 1960년대에 후반에는 새로운 품종들이 개발되어 현재는 다양한 품종들이 재배되고 있다... 2022. 10. 12.
반응형

<